아이콘 | 아이템 | 설명 |
---|---|---|
![]() | 간장 ![]() | 간장. 조선,일본에서 흔히 사용하는 대두로 만든 조미료. |
![]() | 고추장 [1] ![]() | 조선에서 만들어지는 매운 조미료 |
![]() | 굴 소스 ![]() | 굴을 끓인 국물로 만든 조미료. 중국 요리에서는 뺄 수 없다. |
![]() | 꿀 ![]() | 꿀벌. 집에서 모은 꿀. 양봉의 역사가 굉장히 오래되었다. |
![]() | 누크맘 ![]() | 베트남에서 만들어지는 생선이 원료인 조미료. |
![]() | 된장 ![]() | 콩으로 만들어진 페이스트 형태의 조미료. 소금기가 강하다. |
![]() | 두반장 ![]() | 잠두콩으로 만드는 조미료에 고춧가루로 매운맛을 가한 것. |
![]() | 땅콩유 ![]() | 땅콩을 짠 기름. 북미대륙에서 발견된 신종. |
![]() | 라드 ![]() | 돼지 지방을 정제한 식용유. 값이 싸고 사용하기 쉽다. |
![]() | 라한과 ![]() | 중국의 나무 열매. 단맛이 있어 말려서 분말 형태로 만들어 사용한다. |
![]() | 메이플 시럽 ![]() | 설탕단풍나무의 수지로부터 생산되는 감미료. 먼 옛날부터 북미 원주민이 식용으로 사용해왔다. |
![]() | 버터 ![]() | 동물 젖의 지방분을 굳힌 식품. 고급 식용유. |
![]() | 부케가르니 ![]() | 향초를 묶어서 만드는 부케. 조림 요리의 향을 내는데 사용한다. |
![]() | 사과식초 ![]() | 사과가 원료인 식초. 독특하게 달콤한 향기와 단맛이 난다. |
![]() | 사다장 ![]() | 사다장 다양한 조미료를 섞어서 만든다. 볶음 요리의 맛을 낼 때 사용한다. |
![]() | 산초 된장 ![]() | 산초를 사용한 조미료. 조선에서는 예로부터 요리에 사용했다. |
![]() | 설탕 ![]() | 사탕수수로 짠 즙을 바짝 조린 것. 매우 달다. |
![]() | 소금 ![]() | 바닷물을 증발시키거나 암염을 잘라내어 만들어진다. |
![]() | 아몬드유 ![]() | 아몬드를 짠 기름 좋은 향기가 나는 고급 식용유. |
![]() | 안초비 ![]() | 멸치 소금절이. 짜며, 요리의 양념으로도 사용. |
![]() | 야자유 ![]() | 기름 야자의 열매를 짠 기름. 짙은 오렌지색을 하고 있다. |
![]() | 옥수수유 ![]() | 옥수수의 배아를 짠 기름. 풍미가 좋다. |
![]() | 올리브유 ![]() | 올리브 열매를 짠 기름 독특하게 좋은 향기가 난다. |
![]() | 와인 비니거 ![]() | 와인이 원료인 식초. 붉은 식초와 흰 식초가 있는데 각각 풍미가 다르다. |
![]() | 잼 ![]() | 과실을 달콤하게 푹 끊여 만든 것 요리나 과자에 사용된다. |
![]() | 참기름 ![]() | 깨의 열매를 짠 기름. 식용 외에 미용에도 사용된다. |
![]() | 코코넛비니거 ![]() | 코코넛으로 만든 식초 부드럽고 깊은 맛이 난다. |
![]() | 콩소메 수프 ![]() | 고기 등을 푹 끓여서 만드는 맑은 오렌지색의 맛있는 국물. |
![]() | 타마린드 ![]() | 숙성한 타마린드의 열매. 산미와 단맛이 있는 조미료. |
![]() | 피시 소스 ![]() | 도미가 원료인 조미료. 고급품일 수록 색이 흐리다. |
![]() | 해수 [2] ![]() | 해수를 퍼 올린 것. 짜서 마시기에는 적합하지 않다. |
![]() | 허브 기름 ![]() | 향초로 향을 낸 식용유. 다양한 요리에 사용한다. |
![]() | 허브 비니거 ![]() | 향초로 향을 낸 식초. 다양한 요리에 사용한다. |
![]() | 허브 소금 ![]() | 건조시킨 향초를 소금에 섞은 것. 다양한 요리에 사용한다. |
![]() | 화이트 비니거 ![]() | 보리 등의 곡물이 원료인 식초. 독특한 향기 등이 없기 때문에 사용하기 쉽다. |
![]() | 흑식초 ![]() | 벼에서 장기간에 걸쳐 만들어진 검은색 식초. 독특한 풍미가 있다. |
인벤 공식 앱
댓글 알람 기능 장착! 최신 게임뉴스를 한 눈에 보자